1. 사망원인통계 작성시 연령표준화 사망률 산출방법
- 연령표준화 사망률(Age-standardized death rate)이란, 인구구조가 다른 집단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고 계산한 사망률입니다.
사망원인통계의 시도별 비교를 위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아래의 식으로 구해집니다.
연령표준화 사망률 = Σ(연령별 사망률 × 표준인구의 연령별 인구) / 표준인구
* 이때, 표준인구는 2005년 주민등록 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사용합니다.
(2012년 사망원인통계 보도자료 52p 참조,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tat.go.kr > 새소식 > 보도자료)
2. OECD 연령표준화 사망률 산출방법
- 기본적으로 국내 연령표준화 사망률 계산방식과 동일하며, 다만 표준인구를 1980년 OECD 회원국 연령별 전체 인구를 사용합니다.
3. 보정의 의미
- 통계 작성 목적에 따라 보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므로, 질문하시는 보정이 어떤 통계에 해당하는지 말씀해주셔야 정확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다만, 위 질문과 연장선상에서 사망원인통계에서의 ‘시군구별 연령차 보정’이라고 본다면, ‘보정’은 인구구조가 서로 다른 시군구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실 경우 통계청 인구동향과(☏042-481-2252)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 |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 042-481-2252)
|
출처: 국민신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