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잖은’과 같이 적습니다.
이는 '한글 맞춤법' 제5절 준말 제40항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라는 규정과 제39항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한 개 음절로 줄어지는 경우에 ‘-잖-’으로 적는다.”라는 규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어 ‘-지’로 쓰는 경우는 ‘하’ 앞에 ‘ㄱ, ㅂ, ㅅ’과 같은 무성 자음이 올 때인데, 이때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리면 ‘-잖-’으로 적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의하신 것은 ‘정확하지 않은→정확지 않은→정확잖은’과 같은 형태로 씁니다. 아래의 보기들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기) 넉넉하지 않다/넉넉지 않다/넉넉잖다
섭섭하지 않다/섭섭지 않다/섭섭잖다
깨끗하지 않다/깨끗지 않다/깨끗잖다
출처: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