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재산권에 대한 문의

사회,문화
0 투표
정부가 보유하는 정보의 지적재산권은 누구에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종류별로 설명해 주십시오

1 답변

0 투표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정책과입니다. 

 저작권법 제2조 제1호에서는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의 창작적인 표현물을 ‘저작물’로 정의하고 있으며, 같은 조 제2호에서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저작자’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저작자를 자연인에 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국가도 저작물을 창작한다면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저작물의 종류(어문.음악.영상 등)는 구분하고 있지 않으므로, 종류에 상관없이 권리가 부여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저작권법 제7조에서는 헌법.법률.고시.공고.법원의 판결 등을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각 호에 해당하는 저작물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저작권법 제7조에서 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가가 저작물을 창작할 경우 저작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저작권을 부여받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관련 법령 : 저작권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한다.
  2. "저작자"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말한다.

제7조(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이 법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한다.
     1.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3.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5.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 저작권정책관 저작권정책과 (☎ 02-3704-9478)
    관련법령 :
저작권법제2조(정의) 
저작권법제7조(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출처: 국민신문고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