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다"의 품사

한국어
0 투표
표준국어대사전의 '모르다' 항목에는 '모르다'가 동사라고 적혀 있습니다. 저는 '모르다'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형용사에 속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첫째 의미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모르다'는 행위가 아닌 상태에 더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알다'와 대조해 보면 더욱 그러한데, 우리가 무엇을 안다는 것은 어떤 지식이나 정보가 없는(즉 모르는) '상태'에서 지식이나 정보의 습득을 통해 그것을 갖게 됨, 혹은 되었음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무지의 상태에서 기지의 상태로의 이행이라는 점에서) '알다'는 동작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더라도 '모르다' 가 동작성을 지녔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는 의식적, 의도적으로 '아는 것'은 가능하지만 (기지의 상태에서 무지의 상태로의 의도적인 이행인) 의식적, 의도적인 '모르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어미와의 결합입니다. 첫번째 근거의 연장선상에서 '모르다'는 일반적으로 동사가 취할 수 있는 청유형, 명령형의 어미를 취하지 못합니다(모르자, 몰라라). 일부 동사도 이러한 어미를 취하지 못하므로(솟자 등) 이것이 절대적인 기준이랄 수는 없겠지만 '솟자'의 표현이 불가능한 것은 행위의 주체를 상정하기 어렵기 때문인데 반해, '모르다'의 경우는 앞서 말한 것처럼 행위(즉 동작성) 자체가가 포착되지 않기 때문이므로 이 역시 '모르다'의 형용사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모르다'가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인 '-느-, -는'과의 결합을 만족시킨다는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사와 형용사 분류의 근본적인 기준이 의미에 있다면, '-느-, -는'과의 결합 가능성 자체가 품사 분류의 기준이 될 수는 없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모르다'를 동사로 분류했는지 알고 싶습니다. 더불어 '-느, -는-'이 왜 일반적으로 동사와만 결합할 수 있는지도 알려 주시면 의문 해결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답변

0 투표
'모르다'와 관련하여 주신 의견 잘 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모르다'는 "표준국어대사전"뿐만 아니라 고어 사전을 비롯한 많은 사전에서 동사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단어를 의미와 그 기능적인 성격에 따라 살펴볼 때 동사의 의미를 꼭 동작적인 움직임에만 한정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동사는 구체적인 움직임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사랑하다'나 '생각하다'처럼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드러내기도 하고, '자다'나 '쉬다'처럼 움직임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움직임을 지닌 상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동사로 묶이는 말들의 경우 꼭 동작성을 지니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그 기능에 있어 앞서 지적하신 외에 '무엇이 어찌한다'나 '무엇이 무엇을 어찌한다'의 형식을 만족시키는 등 형용사와는 다른 성격을 갖습니다. 따라서 이런 여러 가지 이유를 고려하여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를 동사로 인정한 것입니다. 또한 어떤 어미가 어떤 말과 결합하는가는 우리말이 쓰이면서부터 굳어진 오랜 관습적인 언어 사용의 결과입니다. 사전적인 작업은 이런 관습을 정리하여 체계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이유를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어떤 어미가 구체적으로 어떤 환경에서 어떤 형태와 왜 결합하는 것인가는 국어학자나 문법 연구자들의 연구 과제가 될 것 같습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