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케" "거북지"의 표준 발음

한국어
0 투표
한글 맞춤법 40항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받침이 울림 소리인 경우는, '간편하게-간편케, 간편하지-간편치'와 같이 적지만 받침이 안울림 소리인 경우는 '거북하지-거북지'로 적습니다. 그런데 울림 소리인 경우 '간편게'로 적는다 해도 소리가 '간편케'가 됩니다. 혹은 간편케로 소리가 나기 때문에 'ㅎ'이 남는다고 보고 '간편케'로 적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북하지'의 경우 '거북지'로도 '거북치'로도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이를 규정에서는 '하'가 준 것으로 봅니다. 안울림소리에 해당하는 규정은 '하'가 탈락하는 형태적인 변화가 너무 명확해서(그러나 이 역시 왜 '하'가 탈락하는지, 'ㅏ'가 탈락하는 것은 아닌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혹은 '거북지'로만 소리가 나기 때문에 '거북지'로 적는 것이 아니라, 임의적인 규범이 아닌지 해서 질문 올립니다.

1 답변

0 투표
'거북하지'가 줄어들어 '거북지[거북찌]'가 되는 것은 실제 표준 발음을 근거로 하여 어간의 '하'가 아주 탈락한 것으로 보고 마련된 것이므로, 임의적인 규범은 아닙니다. 그런데 상당수 화자들이 이 조항에 해당되는 예들을 '거북지, 생각건대, 생각다 못해, 넉넉지 않다' 등을 [거북치, 생각컨대, 생각타 모태, 넉넉치 안타]와 같이 발음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못지않다'의 경우는 [몯치안타]로는 발음되지 않습니다. 즉 어간이 'ㄱ, ㄷ, ㅂ'과 같이 폐쇄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ㄱ, ㄷ, ㅈ'과 같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여기에 상당수 형태들에서 거센소리로 발음되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반해서(이에 관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합니다.), '-하' 앞의 소리가 울림소리로 끝나는 경우는 후행하는 'ㄱ, ㄷ' 등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거센소리로만 나타나는 차이를 보입니다. 이와 같은 분포는 '-하' 앞의 소리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 구별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현행 규범에서는 이를 음운론적인 구별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 표기 규정을 달리 설정해 둔 것으로 이해됩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