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동화 규칙의 보편성 문제를 질문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ㄹ'에 관련된 자음동화 현상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ㄹ'이 선행하는 음절 종성 'ㄱ, ㄷ, ㅂ, ㅁ, ㅇ'에 이어 날 때 'ㄴ'으로 바뀌는 경우
목로 →[몽노], 몇량 →[면냥], 협력 →[혐녁]
감로 →[감노], 종로 →[종노] |
(2) 'ㄴ'이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되는 경우
규칙 (2)에 의하면 '등산로'는 [등살로]가 되어야 할 텐데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 요즘 발음을 보면 개인차가 있기는 하나 젊은 세대에서는 특히 어휘에서 'ㄴ+ㄹ'의 연결을 [ㄴㄴ]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한 듯합니다. 그 이유는 형태 보존의 심리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등산로'의 경우 선행 형태소 '등산'이 자립형태소로 그 뜻이 분명한데, 형태를 바꿔 [등살]로 하면 '등산'이란 의미와 거리감을 느끼기 때문에 규칙 (2)의 예외가 되면서 형태를 바꾸지 않는다는 설명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등산'을 제대로 다 발음하고 나면 [등산노]가 되는데 이것은 규칙 (1)의 확대 적용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ㄴ+ㄹ'은 [ㄹㄹ]로 바뀌는 것이 일반적이고 [ㄴㄴ]으로 되는 경우도 있지만, 'ㄹ+ㄴ'에서는 언제나 [ㄹ]로 동화되며 [ㄴㄴ]으로 발음되는 예가 없다는 사실을 보면 역행동화가 순행동화보다 제약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표준 발음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규칙 ⑵에 대한 예외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의견란[의:견난], 임진난[임:진난], 동원령[동:원녕]
상견례[상견녜], 결단력[결딴녁], 이원론[이: 원논] |
출처: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