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 관련(조석이란)

사회,문화
0 투표
1. 달과 마주하지 않은 곳에서도 고조가 생기는 이유 2. 조석주기가 하루에 50분씩 늦어지는 이유

1 답변

0 투표
1. 조석이란 달, 태양등 지구주위 천체의 규칙적인 자전 및 공전 그리고 각 천체의 인력으로 인해 지구표면의 해수가 주기적으로 수직승강운동을 하는 것을 가리킨다.

조석 현상을 일으키는 힘을 기조력이라고 하는데, 기조력은 지구와 천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쏠리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데 어떤 천체가 지구에 미치는 기조력의 크기는 그 천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질량이 큰 태양은 달보다 지구와의 거리가 훨씬 멀기 때문에 지구에 미치는 기조력은 달에 비해 상당히 작게 나타난다.

기조력 발생 원인은 지구와 달과의 상대운동에 의한 원심력과 구심력 그리고 지구 인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서로의 상대운동 즉, 지구 주위를 도는 달이 지구는 정지해 있고 달만 지구주위를 도는 것이 아니라 지구도 달과 함께 지구와 달 사이의 무게중심(지구중심의 반경에서 약 ¾ 지점)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달과 마주하는 지구표면의 반대편에는 더 큰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며 큰 원심력에 의해 해수면은 바깥쪽으로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달과 마주하는 쪽은 원심력은 작지만 달의 인력이 작게 작용하고, 마주하지 않는 쪽은 달의 인력은 작게 작용하지만 원심력이 훨씬 크게 작용 하여 반대편도 마주하는 쪽과 같은 크기의 기조력이 발생하게 된다. 관련 동영상을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www.nori.go.kr) 「배움바다→해양상식→해수면움직임→조석」 관련에니메이션 부분에서 볼 수 있다.

2. 지구가 24시간에 걸쳐 1회(360°) 자전하는 동안 달이 천구상에서 약 13°를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가 1회 자전한 후 약 13°정도 더 자전해야만 만조의 위치에 오게 된다. 따라서 약50분 정도 더 걸리게 되며, 만조에서 만조가 되기까지는 지구가 1/2자전하게 되므로 조석 주기는 약 12시간 25분이 된다. 관련 동영상을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www.nori.go.kr) 「배움바다→해양상식→해수면움직임→조석」관련에니메이션 부분에서 볼 수 있다.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051-400-4362)
    추가문의처 :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 
    관련법령 :
기타  

출처: 국민신문고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