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조사원의 조석표를 보면
▲ : 고조 ▼ : 저조
단위(cm)
월령 날짜 h : m (height) h : m (height) h : m (height) h : m (height) 음력
1 00 : 36 (-12) ▼ 06 : 30 (876) ▲ 12 : 53 ( -8) ▼ 18 : 54 (870) ▲ 08/4
2 01 : 15 ( 29) ▼ 07 : 05 (839) ▲ 13 : 28 ( 10) ▼ 19 : 33 (843) ▲ 08/5
3 01 : 55 ( 92) ▼ 07 : 43 (785) ▲ 14 : 06 ( 50) ▼ 20 : 20 (795) ▲ 08/6
4 02 : 41 (169) ▼ 08 : 27 (717) ▲ 14 : 49 (109) ▼ 21 : 06 (734) ▲ 08/7
5 03 : 34 (251) ▼ 09 : 15 (644) ▲ 15 : 46 (177) ▼ 22 : 28 (675) ▲ 08/8
6 04 : 55 (314) ▼ 10 : 41 (582) ▲ 17 : 12 (231) ▼ 08/9
7 00 : 11 (651) ▲ 06 : 47 (318) ▼ 12 : 32 (574) ▲ 18 : 57 (231) ▼ 08/10
위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때, 맨 앞의 월령은 조석현상을 일으키는 큰 요인인 달의 모양을 의미하고, 날짜는 해당 월의 날짜를
의미한다.
그 다음의 숫자들은 차례대로 h는 시간(hour), m은 분(minute), cm는 물 높이(조위)이며, 뒤에 위아래 화살표를 붙여 고조인지 저조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1일의 조석예측을 보면 00시 36분에 저조로 조위가 -12cm, 06시 30분에 고조로 조위가 876cm,
12시 53분에 저조로 조위가 -8cm로, 18시 54분에 조위가 고조로 870cm로 라는 의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에 고조(물이 완전히 든 상태)와 저조(물이 완전히 빠진 상태)가 보통 2번씩 발생하므로 조석표는 보통 고조 2번과 저조 2번의 시간과 조위를 알려주고 있다.
담당부서 :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051-400-4353)
|
출처: 국민신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