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히스토그램에 대한 질문입니다.
히스토그램을 그리기 위해서는 도수분포표가 필요한게 맞습니까?

그리고 도수분포표를 그릴 때 예를들어 102~106, 106~110 이렇게 구간을 정하잖아요,
그러면 106이라는 값이 4개 있을때 어느 계급에 들어가야되나요?
두 계급에 다 들어가면 그건 이중계산이 되는거니까요.

1 답변

0 투표

문의하신 ‘히스토그램’ 에 대한 답변입니다.

 

1. 히스토그램을 그리기 위해서는 도수분포표가 필요한 게 맞습니까? 

=> [위키백과사전]

히스토그램(histogram)이란 표로 되어 있는 도수 분포를 정보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더 간단하게 말하면, 도수분포표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보통 히스토그램에서는

가로축이 계급, 세로축이 도수를 뜻하는데, 때때로 반대로 그리기도 한다. 계급은

보통 변수의 구간이고, 서로 겹치지 않는다. 그림에서 계급(막대기)끼리는 서로 붙어

있어야 한다. 히스토그램은 일반 막대그래프와는 다르다. 막대그래프는 계급 즉 가로를

생각하지 않고 세로의 높이로만 나타내지만 히스토그램은 가로와 세로를 함께 생각해야 한다.


2. 그리고 도수분포표를 그릴 때 예를들어 102~106, 106~110 이렇게 구간을 정할 때, 106이라는 값이 4개 있을 경우 어느 계급에 들어가야 되나요?
=> 구간은 이상~미만으로 하기 때문에 106의 값 4개는 
106~110 계급에 포함입니다. 

    담당부서 : 통계청 기획조정관 창조행정담당관 (☎ 042-481-3600)
    관련법령 :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9조(질의 및 행정개선 건의의 처리) 

출처: 국민신문고

구로역 맛집 시흥동 맛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add
...